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ongoose query
- 패스트캠퍼스 후기
- Redux
- 직장인 자기계발
- 해시태그
- objectid
- react-redux
- 리액트
- 한번에끝내는Node.js웹프로그래밍초격차패키지
- 직장인자기계발
- event.keycode
-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한번에끝내는Node.js웹프로그래밍초격차패키지
- 자동 높이 조절
-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한번에끝내는Node.js웹프로그래밍초격차패키
- 몽구스 쿼리
- 직장인인강
- 패캠챌린지
- useRef
-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한번에끝내는Node.js웹프로그래밍초격차패키지
- 패스트캠퍼스
- keyCode == 13
- 리액트리덕스
- 줄바꿈 방지
- Object에 변수 지정
- 패스트캠퍼스후기
- React
- object
- 해시태그 구현
- 한번에끝내는
- keycode ==8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7)
꾸준한프로그래밍

0. 공부 기록 공부 시작 16 : 38 중간 저녁 + 대학 과제 (약 4시간) 공부 끝 23 : 25 총 패캠 공부 시간 : 약 3시간 백엔드 Part1이 끝났다. 사실 백엔드 강의를 그리고 이어서 Part1 부분만 작성하는 블로그 글을 작성하는 것이 목표였는데, ch08 은 리팩토링 과정에 대한 강의라서 블로그에 작성할만한 내용이 많이 없었다. 그래서 본래 내일 공부할 부분을 미리 작성했다. 백엔드 Part 1 1. 리팩토링을 왜 하는지 코드를 작성도 하지만 코드를 읽고 해석해야하는 경우도 많음. 그럴 때 최소한의 시간을 투자하려면 처음부터 코드를 깨끗하게 만들어두면 좋음. -> 콜백함수를 사용하여 깊게 들어가는 것은 절대 좋은 코드가 아님. -> Promise 나 async await 기능을 활용하..

0.공부 기록 패캠 시작 12 : 20 점심시간 13:00 ~ 14 :00 패캠 끝~! 15 :30 인증샷 공부 노트 작성 = 코드블럭입니다. 컴퓨터 공부 특성 상 노트를 따록 작성하는 것보는 블로그의 코드블럭에 저장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 같습니다 1. Stream 이란 스트림은 스트림 가능한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작은 청크로 쪼개 처리할 수 있음! 큰 데이터(영상 등)를 처리해야 하거나 비동기적(네트워크 등)으로만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처리해야 할 때 유용함. -> 큰 데이터를 쪼개어서 연산 실행 스트림의 일반적인 구현 형태 const fs = require('fs') const rs = fs.createReadStream('file.txt') rs.on('data', data => {}) rs.o..

0. 공부 기록 공부 시간 : 19 : 56 ~ 21 : 29 1. 모듈 레졸루션과 관련해서 (모듈을 임포트하거나, 출력할 때) module.exports & require 의 특징 // animals.js const animals = ['dog', 'cat'] module.exports = animals //main.js console.log(require('./animals')) console.log(module.require('./animals')) // ['dog', 'cat'] require 의 특징 (https://nodejs.org/en/knowledge/getting-started/what-is-require/) -> Node 에서는 파일하나하나가 모듈인 셈 그리고 모듈을 입/출력하는 방법..

0. 공부기록 인증샷 오늘은 회사 미팅이 늦게 끝나서 공부 시작이 좀 늦었다... ch05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이미 한번이상 봤기 때문에 그냥 눈으로 보면서, 그리고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은 기록하지 않을 예정이다! 혹은 알고 있지만 그래도 기록이 필요하다 생각하면 정리할 것이다😀 공부 시간 : 2200 ~ 23:40 1. API 세팅과 테스트 - 프로젝트 목표는 블로그 만들기 HTTPie 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음. 근데 그냥 POST man 사용하는게 편할듯. 또한 Express 과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서, url -> req.url (url 값 읽기) 분기처리시에 스위치를 사용하거나 해야함. 분기처리시 URL에 따라서 분기처리를 할 수도 있음.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정규식을 사용하는..

0. 시작하기 전 / 후 인증샷 10시경에 시작해서 약 두시간 동안... ch04내용을 들었다🥳 1. 자바스크립트의 최근 변화 자바스크립트는 저작권의 문제때문에 ECMAScript 라는 이름을 가짐. https://github.com/tc39 Ecma TC39 Ecma International, Technical Committee 39 - ECMAScript - Ecma TC39 github.com 위 링크에서 ECMA의 새로운 버전을 정함. https://node.green/ 에서 사용가능한 기능을 확인할 수 있음. 2. 자바스크립트의 나름 최신 동향 - let과 const hoisting(선언의 최상단에서 그리고 초기화는 그 위치에서) 규칙이 없고, block 스코핑을 지원함. var와 달리 let은..

0. 이틀차이며, 오늘은 자바스크립트 기초이지만 심화 내용같은 것을 공부(복습)할 예정이다. 1. 자바스크립트와 EVENT Loop 자바스크립트에 대한 정확한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시성 모델에 대해 알아봐야하는데, event loop, call stack, callback queue 가 있다. event loop 은 여러 스레드를 사용합니다. 그 중 우리가 작성한 자바스크립트가 실행되는 스레드를 메인 스레드라고 한다. -> Node JS 프로세스에서 메인 스레드는 하나이며, 한 순간에 한 줄씩만 실행됨! (적어도 한 프로세스에서는 하나씩 그래서 프로그램 예측이 쉬움) 하지만, 그 외의 일(네트워크, 파일 입출력 등)을 하는 워크 스레드는 여러개가 있다. call stack 실행함수가 하나씩 ..

0. 블로그 글 작성 1일차 패스트캠퍼스 챌린지에 참여하는 겸 기술 블로그를 운영을 시작했다. 강의를 결제하고 시간이 좀 지났고, 강의도 어느 정도 들었는데 블로그 글 작성을 위해서 첫 강의부터 다시 훑는 중이다. 그래야 나중에도 까먹지 않고 나름의 꿀팁같은 것들도 잊지 않을 수 있을 것 같아서... 언제나 설레는 강의의 첫 수업...(사실은 두번째) 1. 자바스크립트 생태계와 Node의 역사 자바스크립트는 HTML 문서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가 퍼지기 전에는 댓글을 삭제하거나 하는 작업을 할때에도, 페이지가 새로고침이 되어야만 했다. 구글이 자바스크립트 V8엔진을 공개하면서 현재 강력한 언어가 되었다. Node JS와 Express 의 조합으로 서버를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