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직장인자기계발
- 해시태그
- keycode ==8
- 줄바꿈 방지
- useRef
- 패스트캠퍼스 후기
- 리액트
- 몽구스 쿼리
-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한번에끝내는Node.js웹프로그래밍초격차패키지
- 해시태그 구현
-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한번에끝내는Node.js웹프로그래밍초격차패키
- 직장인인강
- 패스트캠퍼스후기
- 패스트캠퍼스
-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한번에끝내는Node.js웹프로그래밍초격차패키지
- 패캠챌린지
- keyCode == 13
- 자동 높이 조절
- mongoose query
- 한번에끝내는Node.js웹프로그래밍초격차패키지
- event.keycode
- object
- React
- react-redux
- Redux
- 한번에끝내는
- 직장인 자기계발
- Object에 변수 지정
- objectid
- 리액트리덕스
Archives
- Today
- Total
꾸준한프로그래밍
string을 mongoose ObjectId로 바꾸고 싶을때 본문
간혹 mongoose에서 검색을 할때 파라미터로 받은 objectId가 type이 string이여서 제대로 조회가 안될때가 있다. 이럴때 string인 objectId의 type을 objectId의 type으로 변환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렇게 바꿔주기 위해선 mongoose.Types.ObjectId() 함수를 쓰면 된다.
const mongoose = require("mongoose");
let strObjectId = `61de84a38f86be68734b9cb7`;
// 16진수짜리 objectId(여기선 String)
let objectId = mongoose.Types.ObjectId(strObjectId);
// 16진수짜리 String을 ObjectId 타입으로 변환
console.log(typeof strObjectId); // typeof는 뒤에있는 변수의 type을 알려주는 함수이다.
console.log(typeof objectId);
console.log(strObjectId);
console.log(objectId);
////////////// 결과값
string
object
61de84a38f86be68734b9cb7
new ObjectId("61de84a38f86be68734b9cb7")
// strObject의 type은 string이고, mongoose.Types.ObjectId(strObjectId)을 한 objectId의
// type은 object이다.
// 각각을 출력해보면 61de84a38f86be68734b9cb7와 new ObjectId("61de84a38f86be68734b9cb7")
// 로 각각 다르게 출력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할점은, mongoose.Types.ObjectId() 함수를 쓰려고 할때, 반드시 안에 들어가는 변수는 16진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함으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개발 오답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줄바꿈 방지하는 코드 (0) | 2022.01.14 |
---|---|
[js] 리스트 내에 undefind를 제거하는 방법(filter) (0) | 2022.01.11 |
Object의 key 값에 변수 지정하는 법 (0) | 2022.01.07 |
[개발 노트 1일차] passport.js 이용 로그인, 로그아웃 구현 (0) | 2021.09.14 |